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<P>2003년 우리나라 굴지의 통신업체인 KT(옛 한국통신)에서 명예퇴직한 직원 5500여명. <BR>평균 임금이 월 300만원을 넘어 전형적인 중산층이었던 이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.<BR> <BR>이들은 퇴사한 지 2년반이 지났지만 <BR>4명 중 한 명(25.7%)이 아직 일자리를 찾지 못한 채 떠돌고 있었다. </P> <P>재취업에 성공했더라도 절반 이상이 최저생계비도 안 되는 월 100만원을 벌지 못하고 있었다. <BR>300만원대를 유지한 경우는 4.2%에 불과했다.<BR> <BR>이는 본지가 2003년 한 해 동안 KT에서 퇴직한 40세 이상 직원 5500여명 중 </P> <P>자료를 입수할 수 있는 3788명을 대상으로 현재 경제 상태를 직접 인터뷰하거나 <BR>각종 연금과 보험의 가입 현황을 추적, 분석한 결과 나타났다.<BR> <BR>조사 대상은 퇴직 당시 40대 2189명과 50대 1599명이었다. </P> <P>퇴직 후 일자리를 찾지 못해 아직 무직인 경우는 4명 중 한 명꼴인 974명이었다.<BR> <BR>무직자는 40대가 634명(28.9%), 50대가 340명(21.3%)이었다. </P> <P>젊은 퇴직자일수록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었고, <BR>50대는 재취업을 포기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. <BR>특히 40~44세의 조기 퇴직자 중 무직자가 33%나 되는 것은 준비 없이 퇴직한 것을 방증했다</P> <P>재취업한 이들은 퇴직자 10명 중 5명꼴인 2024명이었다. <BR>기술직이 많아 일반 직장인의 재취업 성공률(30~40%)보다 다소 높았다. <BR>하지만 96%가 전보다 훨씬 낮은 임금을 받아 소득이 대폭 감소됐다. </P> <P>월 100만원도 안 되는 경우가 55%였고, <BR>100만원대도 33%나 됐다. <BR>200만원대와 300만원대는 각각 7%, 4.2%에 불과했다. <BR>중산층 몰락 위기를 한눈에 보여준다. </P> <P>창업을 한 사람들은 5명 중 한 명꼴이었으나 이들도 회사에 다닐 때보다 소득이 훨씬 떨어진 <BR>경우가 대부분이었다.</P> <P><BR>[출처] [한국의 신빈곤층] 3년전 명퇴 KT직원 5500명 지금은… |작성자 행복확신<BR></P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